앞 글에 연계해서 스웨거 어노테이션을 써 보자~
1. RequestDto
@NotBlank(message="메모 내용을 입력해야 합니다.")
@Size(min = 1, max = 60, message = "1 글자 이상, 60 글자 이하가 아닙니다.")
@Schema(description = "걱정 메모 내용", example = "너무 힘들어요.")
@NotNull
private String worryText;
우리가 봐야 할 어노테이션은 @Schema다.
딱 보면 알겠지만, 해당 Dto를 사용하게 될 시에 스웨거를 보면 "worryText" : "String"이 아닌 아래와 같은 문구로 대체된다.
프론트가 보고 이해하기 더 쉽다!!
2. Controller
@Operation(summary = "걱정 메모 작성", description = "걱정 메모를 작성합니다")
@ApiResponses(value = {
@ApiResponse(responseCode = "200", description = "메모 작성을 성공했습니다"),
@ApiResponse(responseCode = "400", description = "잘못된 요청입니다"),
@ApiResponse(responseCode = "401", description = "헤더 없음 or 토큰 불일치",
content = @Content(schema = @Schema(example = "INVALID_HEADER or INVALID_TOKEN")))
})
이제 컨트롤러 어노테이션을 보자.
@Operation어노테이션은 api동작에 대한 명세를 작성하기 위해 Controller 메소드에 설정한다.
요롷게 옆에 설명 나오는 느낌이다.
열어보면 이렇게 보인다.
@ApiResponse는 에러 코드 설명서라고 보면 된다.
자기가 구조화해 둔 에러 코드가 있다면 추가해서 언급하고, 사용하면 된다.
성공 예시다. "200을 메모 작성을 성공했습니다" 로 설명해 놓아서 위와 같은 결과물이 나오게 된다.
필자는 이렇게만 사용하고 있지만, 아직 더 배우는 중이다.. 이렇게 기본적인 내용만 사용해 줘도 협업할 때 더 행복하고 즐겁게 할 수 있을 것이다~~
'springboot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SpringBoot] orElse와 orElseGet 차이점 (0) | 2024.08.10 |
---|---|
[SpringBoot] GPT 3.5 AI 사용하기 (0) | 2024.03.24 |
[SpringBoot] KOMORON을 이용해서 형태소 분석하기 (0) | 2024.03.23 |
[SpringBoot] 인텔리제이 안에서 데이터베이스 접근하기 (0) | 2024.03.23 |
[SpringBoot] Swagger 사용법 (0) | 2024.03.21 |